간이사업자 2

간이과세자 기준 개정, 간이사업자 비상주사무실 동탄 사무실 임대

간이과세 기준 금액 상향,올해 7월 1일부터는 1억 400만원으로~ 기존 8천만원에서 30% 상향됩니다.  Q. 간이과세 기준금액 상향으로 부가가치세 납부 면제 금액도 올라가나요?A. 아쉽게도 부가가치세 납부 의무 기준 금액은 4,800만원으로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일반사업자라면 고민! 간이과세 vs 일반과세​첫 사업자등록, 대부분 간이과세자로 신청하여 사업자 운영의 부담을 덜고 있는데요.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는 세액 계산 방법과 과세 기간, 신고 및 납부, 세금계산서 발급 여부에 있어 차이가 많습니다.​ 무조건 OO과세자가 좋다!라고 정답은 없으므로 본인의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의 자세한 비교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D https://m.blog.nave..

도움되는 2024.08.19

간이사업자 기준, 일반사업자보다 유리한게 맞나요?

사업자등록 전, 간이사업자와 일반사업자 중 어떤 사업자로 시작을 해야 할지 고민이 많으실 텐데요.저희 오피스 기준으로는 일반사업자 비중이 더 많지만, 간이과세자로 시작하시는 분들도 상당합니다.​사업의 규모와 절세 전략에 따라 간이사업자로 시작하시는 대표님들이 있고, 개인이지만 일반과세자로 선택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법인사업자가 아닌 개인이 사업자등록을 할 경우, 간이과세/ 일반과세 그리고 면세사업자 중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과세사업자를 기준으로는 일반과세와 간이과세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사업자등록이 가능한데요.모든 업종의 종사자가 간이사업자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업종에 따라 간이과세자가 불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간단하게 설명드리면, 간이과세 배제 기준을 확인해야 합니다.아래에..

도움되는 2024.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