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판매업업종코드 2

전자상거래 관련 업종코드 정리, 사업자등록을 위한 비상주사무실 계약

통신판매업, 즉 전자상거래 사업을 위해 사업자등록이 필요하다면 대부분 아래 2가지 형태로 진행하는데요.1. 거주하는 집에 사업자를 내거나~2. 비상주사무실 계약 후 사업자등록~​물론 상가나 점포, 사무실을 직접 임대하는 방법도 있으나 고정비가 상당하므로 제외합니다 :D  사업장 소재지를 어디로 할지 결정하셨다면, 어떤 업종코드로 사업자를 낼지 결정해야 하는데요.오늘은전자상거래에 해당하는 업종 코드의 종류와비상주사무실 이용의 장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D​​​전자상거래 업종코드​업종코드란 국세청에서 부여한 6자릿수 코드인데요.업종에 따라서 경비율이 달라지므로 최대한 본인의 사업과 맞는 업종과 업종코드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미 통신판매업, 전자상거래 사업자등록을 결정하셨으니, 어떤 루트로 판매를 할지 고민..

도움되는 2024.08.20

전자상거래 소매업 사업자등록 업종코드와 비상주 임대차계약

전자상거래 소매업을 시작하는 분들이라면~온라인쇼핑몰을 운영하거나, 스마트스토어, 쿠팡에서 도소매업을 시작하고 싶다면!  가장 먼저 해야 하는 1순위는 바로 사업자등록인데요.사업자는 사업 개시일로부터 20일 이내에 사업장 관할 세무서장에게 사업자등록을 신청해야 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1. 전자상거래 소매업 업종코드를 확인2. 사업자등록에 필수! 사업장소재지를 선택하는 방법을 공유하겠습니다.    전자상거래 소매업 업종코드​업종코드를 선택하기 전에 '어떻게' 팔 것인지 정해야 하는데요.어떻게 판매하느냐에 따라 업종코드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이미 전자상거래 소매업 사업자등록을 하려고 결정하셨을 텐데요.혹시 모르니 아래에 나열한 비슷한 업종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전자상거래 소매업업종코드 : 525101범위..

도움되는 2024.06.30